728x90

2023/11 91

[공화국 대한민국 ⑩ 50주년을 맞은 대덕연구특구와 중이온가속기 라온 (RAON)]

[공화국 대한민국 ⑩ 50주년을 맞은 대덕연구특구와 중이온가속기 라온 (RAON)] 대전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에 있는 중이온가속기 라온 (RAON). 수소 (H), 헬륨 (He) 같은 가벼운 원자를 발사해 충돌시켜 다양한 동위원소를 만드는 장비다. 이들 가운데 ‘극도로 짧은 순간만 존재하는’ 희귀동위원소가 연구 대상이다. 거대하게는 우주 탄생의 비밀 규명부터 2차전지 생산까지 이 장비를 통해 연구할 수 있다. 지금껏 대한민국을 먹여 살린 ‘돈 되는’ 응용과학이 아니라 성과가 언제 나올지 불확실한 기초과학에 대한민국이 눈을 돌리고 있는 물증이다. 기초과학연구원 산하 중이온가속기연구소 소장 홍승우가 말했다. “대한민국과 선배 과학기술자들에게 무한히 감사하다” 고. / 박종인 기자 "대한민국 기초과학을 가능케 ..

[물의 순환]

[물의 순환] ▲ / 그래픽 = 진봉기 바다 → 하늘 → 땅을 돌며 산 무너뜨리고 강 만들어요 물방울 계속 떨어지면 바위 깎기도 침식 작용 활발해지면 'V자 계곡' 흐름 느리면 '선상지' 만들어요 우리나라가 '극한 호우' 시대를 맞았어요. 올여름 장마가 시작된 뒤 전국에 평균 500㎜ 넘는 비가 쏟아져 장마철 평균 강수량을 훌쩍 넘어섰어요. 연일 쏟아지는 집중호우로 빗물이 땅속으로 들어갈 여력이 없어 물이 넘치고 인명 피해와 이재민이 속출했어요. 농경지가 침수돼 농가 피해도 심각해요. 차라리 '비가 내리지 않았으면' 하는 생각도 들어요. 비는 작은 물방울일 뿐인데 왜 이렇게 힘이 셀까요? 하늘과 강, 바다를 순환하는 빗물 장마철 내리는 많은 비는 구름에서 만들어져요. 구름에서 어떻게 비가 만들어질까요. ..

[매실을 따고 있네요 (摽有梅)]

[매실을 따고 있네요 (摽有梅)] 일러스트 = 이진영 매실을 따고 있네요 (摽有梅) 매실을 따고 있네요 일곱 개만 남았네요 나를 찾는 임이시여 날 좀 데려가세요 매실을 따고 있네요 세 개만 남았네요 나를 찾는 임이시여 지금 빨리 오세요 매실을 다 땄네요 광주리에 담고 있네요 나를 찾는 임이시여 말만이라도 해주세요 ㅡ 작자 미상, 출전 (이기동 옮김) 지금부터 2500여 년 전, 공자가 편찬했다는 ‘시경(詩經)’ 에 실린 노래다. 매실이 익을 무렵 그녀의 청춘도 무르익어 날 좀 데려가 달라고 임을 부른다. 중국의 어느 지방에서 매실을 따며 부르던 민요일 텐데, 초여름에 매실을 따는 고된 노동이 사랑 노래를 부르며 좀 가벼워졌으리라. 반복되는 후렴구 “나를 찾는 임이시여” 의 앞뒤가 재미있다. “일곱 개만 ..

[제34회 五賢人의 날 참석차 제주여행] 24

[제34회 五賢人의 날 참석차 제주여행] 24 천권성 (天權星) 북두칠성 제사도 北斗七星 第四圖 주성안에 있다 삼성이 처음 나왔을 때 삼도를 나누어서 차지하였는데 북두성을 모방하여 대를 쌓고 나누어 거처하였기 때문에 칠성대라 한다. 七星圖 : 在州城內 石築有 遺址 三姓初出分占三徒 倣北斗形築臺分據之 因名七星圖 권 38. 제주목조 칠성대는 탐라시대부터 전해 내려 온 최고 (最古)의 유적으로 탐라사회이 결속과 번영을 기원하기 위한 문화상징이었으며 탐라왕의 호칭인 성주 (星主)도 여기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 칠성대는 북두칠성을 항로지표로 삼아 동아지중해를 누비며 주변국과의 교역을 통해 삶을 영위했던 해상왕국 탐라의 역사와 문화를 반영하고 있다. 이로 미루어 볼 때 탐라는 가히 '별의 나라' 였다고 할 수 ..

여행/제주도 2023.11.13

[제34회 五賢人의 날 참석차 제주여행] 23

[제34회 五賢人의 날 참석차 제주여행] 23 제주의 생활과 신앙 濟州生活 · 信仰 바다로 둘러싸인 제주는 '열린 섬' 으로서 외부의 문화가 쉽게 들어올 수 있었지만, 다른 한편으로 '고립된 섬' 으로서 고유의 전통이 오랫동안 유지하기도 하였습니다. 이렇게 제주만의 독특한 생활양식과 신앙이 만들어졌습니다. 제주섬 사람들은 주변의 재료를 바탕으로 제주의 혹독한 기후에 최적화된 생활도구를 만들었습니다. 또한 개인과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는 무속 신앙이 오랫동안 제주섬 사람들의 삶에 뿌리 깊게 자리 잡았습니다. 이러한 제주의 생활과 신앙은 오늘날 제주의 소중한 문화유산으로 남아 있습니다. 허벅 水甕 20세기 제주 717, 2001년 구입 제주 옹기는 제주의 화산회토로 만들어져 표면이 붉고 노란 빛이 감도는 갈색..

여행/제주도 2023.11.13

[쥘부채]

[쥘부채] 쥘부채 현순애 가지런한 매무새 음전한 자태 주름치마 곱게 입고부르는 노래 낭창한 허리춤에 햇살처럼 퍼지는 음표들 주름진 고랑에서 불어오는 나뭇잎 흔드는 푸른 숨소리 한여름 소낙비 선율이다 지칠 줄 모르는 고갯장단 영혼 없는 노래에도 응달지는 한낮 혼자 읊조리다 산그늘 내려오는 뒤란 댓잎, 살 비벼 우는 소리 뜨거운 사랑도 이제는 식어 열정의 노래 꿈결처럼 아득해도 산그늘 강물에 아른거리는 실루엣 가지 끝에 걸린 노을빛 명창 한 소절이다.

詩, 좋은 글 ... 2023.11.10

[<8> 러 · 청 체제의 탄생과 조선 ㅡ 네르친스크 평화조약]

[ 러 · 청 체제의 탄생과 조선 ㅡ 네르친스크 평화조약] 러시아군의 시베리아 정복 전투를 묘사한 바실리 수리코프 (Vassili Sourikov)의 유화 ‘예르마크의 시베리아 정복 (1895)’. 러시아는 시베리아 정복 등 동진을 추진하면서 17세기 청나라와 충돌하게 된다. 조선은 청나라의 파병 요청에 1654년과 1658년 두 차례 부대를 파견해 청나라와 함께 러시아와 싸웠다. 이 두 차례 ‘나선정벌’에서의 승전은 조선이 청과 러시아의 실체를 체험하는 군사적 기회가 됐다. / 게티이미지코리아 효종의 나선 정벌은 17C 북벌론 과 18C 북학론 사이의 징검다리였다 남진하러 러, 흑룡강서 청과 충돌 만 · 한 대결에 골몰하던 청의 패퇴 청, 1654년 조선 효종에 파병 요구 조선은 羅禪, 청은 羅刹로 부..

[태즈메이니아데블]

[태즈메이니아데블] ▲ 태즈메이니아데블은 몸길이가 83㎝까지 자라고, 온몸이 검은 털로 덮여 있어요. / 호주박물관 캥거루처럼 주머니서 새끼 키워요··· 입 쩍 벌린 모습 때문에 '악마' 별명 호주 토종 동물인 태즈메이니아데블이 몇 년 전부터 얼굴에 종양이 생기는 무서운 전염병에 걸려 잇따라 죽고 있대요. 최근 이 병의 백신을 개발해 임상 시험에 들어간대요. 호주인들이 직접 백신을 만들 정도로 애지중지하는 이 동물은 호주 남동쪽 끝 태즈메이니아섬에서만 살고 있는 유대류랍니다. 유대류는 캥거루나 코알라처럼 아주 조그마한 새끼를 낳은 다음 육아 주머니에서 키우는 포유동물을 말해요. 태즈메이니아데블은 유대류 중에서 드물게 직접 사냥하는 육식성입니다. 다 자란 몸길이는 최장 83㎝이고, 꼬리 길이는 최장 30㎝..

[도로와 중앙 집권]

[도로와 중앙 집권] ▲ 이탈리아 폼페이에 남아 있는 로마제국 시절 도로. / 위키피디아 로마, 8만5000㎞ 길 깔아··· 페르시아는 28㎞마다 역 설치 공병대가 로마와 정복지 도로로 연결 페르시아, '역참 제도' 로 황제권 완성 수레바퀴 폭 통일해 中 지배한 시황제 최근 우리나라 곳곳에 '괴 (怪) 우편물' 2000여 개가 배송됐어요. 정체를 알 수 없는 이 국제우편물은 중국에서 출발해 대만을 거쳐 우리나라에 들어온 것으로 파악됐어요. 국제우편망이 발전하면서 생긴 소동이지요. 과거 광대한 영토를 가진 제국들은 새로운 소식을 어떻게 빠르고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을지가 큰 관심거리였대요. 나라를 효율적으로 잘 다스리는 것과 관련된 중요한 일이었거든요. 제국을 지배하는 위대한 왕이 되려면 명령을 잘 전달할..

[우주로 가는 휴머노이드]

[우주로 가는 휴머노이드] ▲ / 그래픽 = 유재일 키 189㎝ '발키리'··· 우주 기지서 사람 대신 정밀 작업하죠 손가락 4개인데 엄지 따로 분리 수많은 관절로 사람처럼 움직여 머리에 센서 달아 사람 눈처럼 관찰 미국은 새로운 달 탐사 프로그램 '아르테미스 계획' 을 추진하고 있어요. 이전에 한 유인 (有人) 탐사는 물론, 달 기지 건설을 최종 목표로 삼고 있죠. 미 항공우주국 (NASA · 나사)은 최근 휴머노이드 (인간형 로봇) '발키리 (Valkyrie)' 를 공개하며 2025년 아르테미스 3호 유인 발사 때 발키리가 임무를 수행할 것이라고 발표했습니다. 우주 공간에서 활용할 수 있게 개발 중인 발키리의 최신 테스트 과정을 공개한 거죠. 발키리는 지금까지 달이나 화성에 보낸 무인 탐사 로봇과는 ..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