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교육전시실 7

[교육전시실 ㅡ 부천시립박물관] 08

[교육전시실 ㅡ 부천시립박물관] 08 부천 교육의 역사 부천 지역의 교육은 1924년 소사북보통학교 (현 부천북초등학교)의 개교로 시작되었다. 소사북보통학교는 지방비 12,640원과 계남면 및 오정면 주민들의 기부금 8,000원을 모아 설립되었고, 당시 학생 (22명을 수용할 수 있었다. 이후 1932년 오정공립보통학교 (현 오정초등학교), 1949년 약대공립국민학교 (현 약대초등학교)가 설립인가를 받았다. 한편 일제강점기에 일본인들이 다니던 소사심상소학교 (1922년)는 광복 후 소사남국민학교 (1945년, 현 부천남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부천의 교육기관은 현재 유치원 125개원, 초등학교 64 (분교 1) 개교, 중학교 32개교, 고등학교 28개교, 특수학교 2개교 등 총 252개교가 운영중..

[교육전시실 ㅡ 부천시립박물관] 07

[교육전시실 ㅡ 부천시립박물관] 07 인문지리 1957. 3. 15. 을유문화사 고등 사회생활과ㅡ정치문제 (공민부분 1학년용) 1954. 3. 5. 일조각 중학 국어 (2ㅡII) 1955. 9. 15. 문교부 중등 사회생활과ㅡ국제생활 공민 (3) 1956. 3. 25. 일조각 국어 (5ㅡ2) 1956. 9. 10. 문교부 산수 (2ㅡ1) 1958. 3. 1. 문교부 사회생활 (4ㅡ2) 1958. 9. 1. 문교부 과학 공부 (4ㅡ1) 1954. 3. 5. 문교부 제6차 교육과정 (1992. 6. ~ 1997. 12.) 제6차 교육과정에서는 문민정부 출범과 함께 동구권의 개혁 개방에 따라 세계화가 강조되었다. 별도의 교육과정개정연구위원회를 구성하여 교육부 주도로 교육과정을 연구 · 개발했다. 시 · 도 교..

[교육전시실 ㅡ 부천시립박물관] 06

[교육전시실 ㅡ 부천시립박물관] 06 제5차 교육과정 (1987. 6. ~ 1992. 6.) 제5차 교육과정은 부분개정을 기본원칙으로 하였으며, 전체적인 형식과 내용은 제4차 교육과정과 유사하다. '지역화'를 강조하며 중앙집권적 교육과정 체제를 지방화하였고, '효율화'를 통해 쓸모있는 교육과정이 되게 하여 실제 교육현장에서 교육의 목적이 제대로 실현되도록 했다. 이 교육과정기에는 기초교육의 강화, 21세기 정보화 사회에 대응하는 자주적인 사람, 창조적인 사람, 도덕적인 사람을 기르는데 역점을 두어 구성했다. 고등학교 지리부도 1990. 3. 1. 교학연구사 고등학교 과학 (Iㅡ하) 1992. 3. 1. 금성교과서 (주) HIGH SCHOOL ENGLISH (I) 1990. 3. 1. 동아출판사 고등학교 ..

[교육전시실 ㅡ 부천시립박물관] 05

[교육전시실 ㅡ 부천시립박물관] 05 인문계 고등학교 가사 1971. 3. 1. 문교부 중학교 한문 (1) 1979. 3. 1. 한국교육개발원 국민학교 국민교육헌장 풀이 (5, 6) 1970. 6. 1. 문교부 국사 (6) 1976. 3. 1. (주)국정교과서 인문계 고등학교 국어 (1) 1977. 3. 1. 대한교과서 (주) 중학교용 승공통일의 길 (1) 1975. 2. 20. (주)동아서적 체육 (5) 1980. 3. 1. 문교부 자연 (3ㅡ2) 1976. 9. 1. 문교부 산수 (6ㅡ2) 1979. 9. 1. 문교부 제4차 교육과정 (1981. 12. ~ 1987. 6.) 이 교육과정기는 국민정신교육에 역점을 두고 초등학교 통합교과 추진, 중학교 의무교육의 단계적 추진에 따른 기초 교과목의 비중 강..

[교육전시실 ㅡ 부천시립박물관] 04

[교육전시실 ㅡ 부천시립박물관] 04 교육과정별 교과서 변천사 교육과정은 교과의 목록, 교과별, 학년별 교수내용의 체계이자 넓은 의미로 학습을 위한 계획과 준비까지도 대상이 된다.즉, 교사가 '무엇'을 '왜', 그리고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에 대한 교육의 총체적 과정이다. 우리나라의 교육과정은 학생들을 효과적으로 가르치기 위해 1954년 제1차 교육과정기를 시작으로 시대의 흐름에 따라 다양한 변화를 거쳐 오늘날에 이르렀다. 제1차 교육과정 (1954. 4. ~ 1963. 2.) '교과 중심 교육과정'으로 1954년 문교부령으로 '교과과정'이 공포되었다. 종래의 '지식중심' 교수요목 敎授要目을 지양하고 '생활과 경험'을 중시하여 실생활에 필요한 지식, 기능, 태도, 습관 등의 지도가 중요한 목표였다. 교..

[교육전시실 ㅡ 부천시립박물관] 02

[교육전시실 ㅡ 부천시립박물관] 02 중등교과 동국사략 (상) 中等敎科 東國史略 上 1907. 보성관 19세기구주문명진화론 (역) 十九世紀歐洲文明進化論 譯 1908. 4. 우문관 보로사국후례두익대왕7년전사 普魯士國厚禮斗益大王七年戰史 1908. 5. 10. 일한인쇄 (주) 간명 교육학 簡明敎育學 全 1908. 7. 우문관 신정 동국 역사 (권 2) 新訂 東國歷史 卷二 1906. 2. 5. 휘문의숙인쇄부 음빙실자유서 飮冰室自由書 1908. 4. 10. 탑인사 대한신지지 (곤) 大韓新地志 坤 1908. 12. 15. 휘문관 신정교과 산학통편 新訂敎科 算學通編 1909. 3. 20. 일한인쇄 (주) 실지응용 작문법 實地應用 作文法 1909. 1. 20. 휘문관 암울했던 일제강점기 식민지 교육 일제는 식민지 교육..

[교육전시실 ㅡ 부천시립박물관] 01

[교육전시실 ㅡ 부천시립박물관] 01 우리나라 학교 교육의 시작 우리나라의 교육은 삼국시대부터 눈부시게 발전했다. 백제는 일본에 논어와 천자문을 전할만큼 교육수준이 높앗다. 고구려 소수림왕 때 (372년)는 최초의 국립교육기관인 '태학 太學'이 설립되어 문학과 무예를 가르쳤고, 신라는 교육기관인 '국학 國學'을 세워 인재를 양성했다. 고려시대에는 최초로 과거제도를 시행했으며, 교육기관으로는 국자감, 향교, 학당 등이 있어 교육기반이 더욱 확대되었다. 조선시대에는 성균관, 사부학당, 향교, 서원 및 서당 등으로 학제가 구성되어 초등학교기관의 역할을 서당, 중등교육기관의 역할은 서울의 사부학당과 지방의 향교 및 서원, 대학의 역할은 성균관이 하였다. 동몽선습 童蒙先習 조선후기, 천자문을 익힌 후 배우는 초급..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