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신문은 선생님/뉴스 속의 한국사 86

[석오 이동녕]

[석오 이동녕]    ▲ 1933년 무렵 김구 (왼쪽)와 이동녕 (가운데), 엄항섭이 함께 찍은 사진. / 국사편찬위원회    임시정부 주석 네 차례 지내··· 정치 반대파에게도 존경 받아   신민회 · 신흥학교 세우며 항일 운동日 총독의 귀화 권유, 듣자마자 거절해방 전 중국 치장서 폐렴으로 별세    국가유산청 문화유산위원회가 최근 서울 효창공원에 있는 독립운동가 석오 이동녕 (1869 ~ 1940) 선생의 묘소를 정비하기로 했다는 뉴스가 나왔어요. 이동녕 선생은 대한민국 임시정부 주석을 네 차례 지낸 인물로, 우리 독립운동사에서 반드시 거론되는 분이에요. 하지만 해방 전 중국 땅에서 별세했기 때문에 잘 알지 못하는 사람도 많습니다. 그분의 발자취를 따라가 보겠습니다.   임정의 충칭 진입을 앞두고 ..

[신숙주]

[신숙주]    ▲ 신숙주 초상. / 국가유산청    엘리트 학자 · 공신이었지만··· 후대엔 변절자로 기억돼죠   국가유산청, '신숙주 초상' 국보 승격세조 때 출중한 능력으로 출세 가도외교 활동하며 국제 감각 쌓였죠사육신과 비교돼 부정적 이미지도   지난 3일 국가유산청이 '신숙주 초상' 을 보물에서 국보로 승격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신숙주 초상은 현존하는 공신 초상화 중 가장 오래된 것으로 여겨져요. 공신 (功臣)은 나라를 위해 특별한 공을 세운 신하예요. 1455년 (세조 1년) 신숙주가 공신으로 책봉됐을 때 포상으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어요. 국가유산청은 신숙주 초상이 제작 당시 원형을 비교적 충실하게 보전하고 있어 미술사적으로 가치가 높고, 조선 전기 신숙주라는 인물을 묘사한 그림이라..

[한국인이 사랑한 '삼국지']

[한국인이 사랑한 '삼국지']    ▲ 서울 종로구에 있는 동묘 (동관 왕묘) 내부 모습. / 국가유산청    "동탁 같은 자" 조선 당쟁에도 등장··· 과거시험에도 나왔죠   '장비 군령이냐' 속담으로 쓰이고표준국어대사전에는 '범강장달이''방구석 여포' 신조어로도 사용해요    최근 한동훈 전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한 모임에서 "삼국지 게임을 즐기는데 맹획 캐릭터를 쓴다" 고 밝혔다는 뉴스가 나왔어요. 맹획은 중국 삼국시대 남만 (남쪽 이민족)의 지도자로 알려진 인물로 촉한의 승상 제갈량이 일곱 번 잡았다 놓아준 '칠종칠금 (七縱七擒)' 고사성어로 유명합니다. '왜 조조, 유비, 손권 같은 인기 캐릭터를 고르지 않느냐' 는 질문에 "맹획으로 이기기 위해선 많은 역경을 극복해야 하기 때문" 이라며 "..

[중앙선]

[중앙선]    ▲ KTXㅡ이음이 중앙선 양수철교 (경기 남양주시)를 지나가고 있어요. / 코레일    日帝 , 美 함포 공격서 벗어나려 새 철도 황급히 깔았죠   내륙 오지 관통하는 '제2 경부선'물자 수탈하려 2차 세계대전 때 완공내년 초 모든 구간 KTX 운행 예정    국가철도공단 강원본부가 중앙선 복선 (오고 가는 열차가 따로 다닐 수 있도록 선로를 두 가닥으로 깔아 놓은 궤도) 전철 경북 안동 ~ 영천 구간의 주요 공사를 완료하고 지난 19일부터 열차 시험 운행을 위한 전기를 공급했다는 뉴스가 나왔어요. 이 구간은 올해 12월 완공이 목표입니다. 얼핏 지방의 교통 단신처럼 보이는 이 뉴스는 사실 대한민국의 교통사 (史)에서 커다란 역사적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안동 ~ 영천 구간 철도가 복선..

[앨리스 리베카 아펜젤러]

[앨리스 리베카 아펜젤러]    ▲ 앨리스 아펜젤러가 이화학당 대학과 8회 졸업생 두 명 (맨 왼쪽 · 오른쪽)과 이화학당 선교사들과 함께 찍은 사진. 가운데 앞쪽에 있는 사람이 앨리스 아펜젤러예요. / 이화역사관    아버지 는 배재학당, 딸 은 이화여대 초석 놓았죠   1922년 이화학당 당장으로 취임3년 후 정식으로 전문학교 인가받아내신촌 캠퍼스 설립 위한 모급 활동 벌여    미국 하와이에 사는 한 · 미 청소년들이 지난 10일 서울 마포구 양화진 외국인 선교사 묘원을 찾아갔어요. 학생들은 이곳을 방문해, 이승만 대통령이 다닌 배재학당을 설립한 헨리 아펜젤러 목사의 가묘 (假墓)에 꽃을 바쳤다고 해요. 헨리 아펜젤러는 1902년 배를 타고 전남 목포의 성경 번역자 회의에 가다가 전북 군산 어청도 ..

[호머 헐버트]

[호머 헐버트]    ▲ 작년 국가보훈부가 제104주년 3 · 1절을 맞아 헐버트의 흑백 사진을 인공지능 (AI) 기술을 활용해 색채 사진으로 복원한 모습. / 국가보훈부    "조선엔 완벽한 문자 존재" 한글 우수성 외국에 알렸죠   1886년 교사로 조선에 온 美 선교사한글 교과서 쓰고 독립신문에 힘 보태고종의 부탁으로 '헤이그 특사' 도와    국립한글박물관이 6월 호국 보훈의 달을 맞아 한글을 통해 세상을 일깨운 '한글 보훈 인물' 10여 명을 선정했어요. 이 중에 유일한 외국인이 한 명 있는데요. 바로 미국인 선교사이자 교육자였던 호머 헐버트 (1863 ~ 1949)입니다. 안중근 의사는 뤼순 감옥에서 일본인 경찰의 취조를 받을 때 "한국인이라면 헐버트를 하루도 잊어서는 아니 된다" 고 말했어..

[용문산 대첩]

[용문산 대첩]    ▲ 강원도 화천군에서 바라본 파로호. / 장련성 기자    6 · 25 전쟁 때 중공군 총공세 막아낸 '현대판 살수대첩'   용문산에서 화천호까지 대규모 추격수장 · 사살된 중공군 2만4000명 달해1955년 '화천호' 서 '파로호'로 새이름'오랑캐 무찌른 호수' 라는 뜻이래요    강원특별자치도 화천군과 양구군에 걸쳐 있는 '파로호 (破虜湖)' 라는 호수가 있어요. 많은 사람이 방문해 수상 레저를 즐기거나 한반도 모양 인공 섬을 찾기도 하죠. '이름이 참 예쁜 호수인데 풍광도 좋다' 고 하는 사람이 많아요. 그런데 이곳은 인공 호수랍니다. 1944년 일제가 수력발전을 위해서 화천댐을 지었고, 그래서 만들어진 이 호수는 원래 '화천호' 나 '화천저수지' '대붕호' 라 불렀어요. 파..

[민영환]

[민영환]    ▲ 을사조약에 반대하며 1905년 11월 30일 자결한 민영환. / 미국 코넬대    을사조약에 반대하며 자결한 충정공··· 명함에 유서 남겼어요   고종 측근으로 활동하며 개혁 주도일본에 대한제국 외교권 빼앗기자스스로 목숨 끊어 자유 독립 외쳤죠    문화재청은 을사조약에 반대하며 자결한 충정공 민영환 (1861 ~ 1905)의 유서를 국가등록문화유산으로 등록할 계획이라고 지난달 11일 밝혔어요. 고종 황제는 민영환의 우국충정을 기리기 위해 '충정 (忠正)' 이라는 시호를 하사했는데요. 오늘날 서울 서대문구에 위치한 '충정로 (忠正路)' 는 민영환의 시호를 따서 지은 길 이름입니다. 오늘은 민영환의 삶을 되짚어 보며, 그의 유서가 우리 역사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살펴볼게요.   민씨 ..

[괘불 : 조선 불교의 '재미']

[괘불 : 조선 불교의 '재미']    ▲ 예산 수덕사 괘불, 1673년. / 국가유산청    야외 법회 때 거는 초대형 부처 그림 ··· 불교 대중화 이끌었죠   무게만 150㎏··· 도둑도 못 훔쳐가전국 절에 90여 점 현재까지 보존조선 후기 불교 미술 전성기 보여줘    요즘 "불교가 힙해졌다" 는 말이 나오고 있어요. '힙하다' 는 것은 '고유한 개성과 감각을 지니고 있으면서도 최신 유행에 밝고 신선하다' 는 뜻이라고 국립국어원 '우리말샘' 은 설명합니다. 영단어 '힙' (hip)은 유행에 밝다는 뜻입니다. '힙한 불교' 의 대표적인 예로 소개되는 것이 바로 '뉴진스님' 의 디제잉 공연이죠. 디제잉은 디제이가 음악을 틀어 놓고 음반의 표면을 긁어 소리를 내거나 여러 음악 효과를 섞어서 즉흥적으로..

[영수 회담]

[영수 회담]    ▲ 1975년 5월 21일 청와대에서 박정희 대통령과 김영삼 신민당 총재가 회담을 했어요. / 김영삼민주센터    정부 수립 이후 26차례 열려··· 김대중 정부 때 8회로 최다   '영수' 는 '우두머리' 를 뜻해요이승만, 좌익 박헌영과 마주 앉아정조는 반대파 심환지와 소통했죠    지난달 29일 윤석열 대통령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양자 회담을 가졌어요. 대통령과 제1야당 대표의 양자 회담은 현 정부 들어 처음이었습니다. 그런데 일각에선 이런 식의 양자 회담을 '영수 (領袖) 회담' 이라고 불러요. 무슨 뜻일까요? 여기서 '영수' 의 영 (領)은 '옷깃', 수 (袖)는 '소매' 라는 뜻이에요. 옛날 옷에서 옷깃과 소매가 가장 두드러진 부분이라는 이유로 '영수' 란 말에는 '..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