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박물관 기념관 등 137

[문자와 문명의 위대한 여정] 09

[문자와 문명의 위대한 여정] 09 팔천송반야경 패엽경 판차락사 패엽경 판차락사 패엽경 네팔문자 1397년 바가다드 기타 주석서 사원 회계에 관한 패엽문서 선견율비바사소 복주서 마하박가 패엽경 티베트 팔천송반야경 팔천송반야경 패엽경 『팔천송반야경 (八千頌般若經)』은 팔천개의 게송 (偈頌, Ghata)으로 이루어진 반야경이다. 이 경전은 초기 대승불전 중 하나이며, 반야부 (般若部) 경전 중 가장 빠르게 성립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반야바라밀다 (般若波羅蜜多)' 와 공 (空)의 개념, 보살의 자격 등 『반야경』으로서 갖추어야 할 내용을 완비 (完備)하고 있으며, 네팔에서는 대승불전의 '구법 (九法 nava-dharma)' 중 하나로 꼽힌다. 이 필사본은 야자수 잎에 필사되었으며, 12세기 중반 이후 인도..

[문자와 문명의 위대한 여정] 07

[문자와 문명의 위대한 여정] 07 아람문자, 사막을 건너 초원으로 아람문자는 고대 근동近東 세계에서 공용문자로 사용되었던 문자이다. 아람문자를 최초로 사용한 아람인이 육상 무역에 종사하던 상업 민족이어서 교역을 통해 아람문자는 주변 지역에 널리 퍼졌다. 기원전 6세기 경에 페르시아제국이 아람어를 국제 공용어 lingua franca로 선포함에 따라, 아람문자도 공식 문자가 되어 고대 근동 전역으로 널리 퍼져나갔다. 그러나 기원전 332년 마케도니아의 알렉산드로스대왕이 페르시아제국을 무너뜨리자, 아람문자도 페르시아제국과 함께 그리스문자에 지위를 내주고 서서히 소멸의 길을 걸었다. 아람문자는 동방 세계로 전파되어 근동의 히브리문자 Hebrew script, 아랍문자 등에 영향을 주엇고, 아람문자에서 파생된..

[문자와 문명의 위대한 여정] 06

[문자와 문명의 위대한 여정] 06 콥트어 오스트라카 메샤 비석 복제품 코덱스 시나이티쿠스 복제품 라틴문자, 바다를 따라 세계로 대리석 유골함 항아리 이 유골함은 로마 상류층의 장례 문화를 확인할 수 있는 유물이다. 그리스도교 양식의 장례 문화가 도입된 로마 제정 시대 (기원전 27 ~ 기원 후 476) 중기에서 말기의 것으로 추정된다. 아내인 루크레티아 이아누아리아 (Lucretia lanuaria)가 죽은 남편인 루크레티우스 헤르마디온 (Lucretio Hermadion)을 위해 제작했다. 유골함의 양쪽에 서 있는 어린 신은 잠이 든사랑의 신 쿠피도 (Cupido Dormiens)를 표현한다. 양 어깨에 달린 날개와 한 손에 아래에 새겨져 있는 사랑의 화살들을 담고 있는 화살통을 통해 알 수 있다. ..

[문자와 문명의 위대한 여정] 05

[문자와 문명의 위대한 여정] 05 터키석의 여주인, 사랑스러운 하토르 명문 세라비트 엘카딤 스핑크스 복제품 세라비트 엘카딤 스핑크스 이집트 셈족 광산 노동자들이 터키석의 여신 하토르에게 바친 스핑크스이다. 약 한 뼘 크기의 길이로, 눈 · 코 · 입 · 귀가 있는 사람의 얼굴에 엎드려 있는 데 발 달린 동물의 몸체로 이루어져 있다. 양면에는 원시나이문자가, 오른쪽 어께에는 고대 이집트 문자가 새겨져 있다. 바알라트님 (여주인님)에게 희생을 드리기 위해 희생을 드리기로 맹세합니다. 세라비트 엘카딤 스핑크스 이 스핑크스는 원시나이문자가 기록된 가장 오래된 유물이자 최초로 발견된 유물이다. 인류 최초의 알파벳이 쓰인 유물로서 그 가치가 높다. 1905년 페트리 (W. M. F. Petrei)경이 시나이 반도..

[문자와 문명의 위대한 여정] 04

[문자와 문명의 위대한 여정] 04 이집트문자, 나일의 선물 고대 이집트 문명은 나일강과 함께 하였다. 매년 반복되는 나일강의 범람은 이집트인들에게 풍요와 재탄생을 의미하였다. 나일강을 통해 고대 이집트는 문명을 꽃피웠고, 그 문명의 중심에 문자가 있었다. 이집트문자는 신성하게 새겨진 문자라는 의미로 성각문자 聖刻文字, Hieroglyph로 불린다. 성각문자는 주로 신전이나 왕묘의 벽면 등에 새겨졌다. 피라미드 내부에 새겨진 '피라미드 텍스트 Pyramid Texts'가 가장 대표적인 예이다. 성각문자가 완전한 문자체계로 발전하면서 성각문자 흘림체 Hieroglyphic cursive · 신관문자 神官文字, Hieratic · 민용문자 民用文字, Demotic 등으로 분화되었다. 성각문자 흘림체와 신관문..

[문자와 문명의 위대한 여정] 03

[문자와 문명의 위대한 여정] 03 함무라비 법전 복제품 함무라비 법전 함무라비 왕이 반포한 법전으로, 성인 남성의 키가 훌쩍 넘는 크기의 석비이다. 맨 위에는 의자에 앉은 태양신 샤마쉬 (Shamash)가 함무라비에게 왕권을 상징하는 물건들을 하사하는 모습이 조각되어 있다. 석비의 앞 · 뒤에는 쐐기문자로 282개의 법 조항이 새겨져 있다. 함무라비 법전 축소모형 (왼쪽) 함무라비 법전의 196조 (오른쪽) 만약 어떤 사람이 다른 사람의 눈을 멀게 하면, 그의 눈도 멀게 될 것이다. 함무라비 법전 함무라비 법전 이 석비는 바빌로니아 (바빌리)의 여섯 번째 군주인 함무라비 (재위. 기원전 1792 ~ 기원전 1750 추정)가 반포한 법률 문서이다. 검은 섬록암 상부에 함무라비가 태양신 샤마쉬 (Shama..

[문자와 문명의 위대한 여정] 02

[문자와 문명의 위대한 여정] 02 | 문자, 길을 열다 문자는 인류의 가장 위대한 발명품이다. 놀랍게도 세계 곳곳에 흩어져 사는 인류는 자신들이 처한 환경에 맞게 그들만의 문자를 만들거나 받아들였다. 시간의 차이만 있을 뿐이었다. 위대한 발명품을 기반으로 인류는 찬란한 문화와 문명의 길을 열었다. 문화의 흥망성쇠와 함께 문자는 끊임없이 생성과 소멸을 반복하였다. 바뀐 환경에 적응하지 못한 문자는 바로 사라졌고, 그 자리를 새로운 문자가 차지했다. 그 중엔 유난히 전파력이 강한 문자들이 있었다. 문화적 역량이 뛰어나거나 생명력이 강한 몇몇 문자는 주변으로 퍼져나갔다. 때로는 지배와 피지배의 정치적 관계가, 때로는 종교적 신념이 전파력을 높였다. 그런가 하면 상인들의 교류도 문자의 확산을 부추겼다. 그 결..

[문자와 문명의 위대한 여정] 01

[문자와 문명의 위대한 여정] 01 국립세계문자박물관 대자연 속 인류 소리에서 언어로, 그림에서 기호로, 인류의 위대한 발명품, 문자 문자, 사람을 잇다. 문자, 지식을 전하다. 문자, 문명을 빚다. Pages 국립세계문자박물관을 상징하는 '페이지스 (Pages)'를 통해 우리는 문자 이야기를 담고자 합니다. 2017년 국립세계문자박물관 국제현상설계공모에서 126 : 1의 경쟁률을 뚫고 당선된 '페이지스'는 문자가 쓰이는 바탕을 의미하는 건축 장치입니다. 송도 센트럴파크에 있는 국립세계문자박물관은 공원과 어우러지는 수평적이고 유려한 곡선 형태의 열린 공간으로 디자인되었습니다. 건축물은 산책로와 자연스럽게 이어지며 건축의 내연과 외연이 서로 교차하고 중첩되면 반전되는 시퀀스를 제공합니다. 국립세계문자박물관..

[한국근대문학관] 09

[한국근대문학관] 09 1935 ~ 1945 생명을 추구하며 조선적인 것을 재발견하다 1930년대 후반 서정주, 유치환, 오장환 등의 신진 시인들은 이념과 기교에 치우친 선배들의 시적 경향을 비판적으로 인식하였다. 이들은 나날이 가혹해지는 식민지 현실에서 그 현실을 벗어나거나 이겨나갈 시적세계를 생명에 대한 의지와 모든 것이 풍요로운 고향의 모습에서 발견했다. 이 때문에 이들 시인들은 흔히 '생명파'라 불린다. 서정주는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죄인이라는 원죄 의식과 영원한 생명에 대한 동경을 관능적인 이미지로 그려냈다. 「화사」, 「자화상」이 그 사례이다. 이 시들은 모두 1941년에 간행된 『화사집』에 실려 있다. 유치환은 주로 현실과 대결하는 새로운 생명 의지를 집중적으로 추구하였다. 「생명의 서」 (..

[한국근대문학관] 08

[한국근대문학관] 08 1935 ~ 1945 일제파시즘에 맞서 시대를 고뇌하다 1930년대 후반에 들어와 한국 근대문학은 일본제국주의의 전면적 탄압에 직면한다. 일본제국주의는 이 시기에 파시즘 체제로 변화되어 중잉전쟁 (1937)을 일으키고 대동아공영권을 표방하는 한편 미국을 대상으로 태평양전쟁 (1941)을 일으킨다. 식민지 주민에게는 가혹한 통제정책을 시행하고 생활문자 마저 수탈해 갔을 뿐만 아니라 강제징용을 실시하기에 이른다. 1940년을 넘어서면서는 각종 신문과 잡지를 폐간시키고 한글 사용도 금지시킨다. 문인들에 대한 일제 당국의 통제와 검열, 국가시책에의 협조가 강요되면서 일제 말기에는 친일문학을 표방하는 문인들도 생겨나게 된다. 이런 상황에서 작가와 시민들은 시대의 문제를 치열하게 고민했으며 ..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