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역사박물관 ㅡ 역사관] 17
정전협정과 전쟁의 결과
1951년 7월 10일에 개성에서 정전회담이 시작되었다. 경계선 책정문제, 포로 송환 문제 등으로 갈등이 계속되는 가운데 크고 작은 전투는 계속되었다. 1953년 7월 27일에 정전협정이 체결되었다. 1953년 10월, 한미상호방위조약 체결로 한미동맹 관계를 제도화하였다. 전쟁은 한반도 전역에 인적 · 물적으로 큰 피해를 남겼다.
제85수용동에서 공산포로들이 시위하는 모습
1952. 5. 31. NARA
포로 교환으로 석방된 유엔군 포로의 모습
1953 경향신문
북한군 포로 송환 모습
1953 경향신문
<개성정전회담 공보집록> 제1집
개성에서 이루어진 유엔군과 공산군 간의 정전회담 과정을 기록하였다. 개성 정전회담은 예비회담과 본회담으로 두 차례에 걸쳐 진행되다 중단되었고, 이후 판문점에서 회담이 계속되었다.
1951. 8. 김영준 기증
휴전을 반대하는 전단지
6 · 25전쟁의 당사자인 한국의 주장과 의지를 무시한 채 휴전협상이 진행되고 있는 것에 대하여 반대한다는 주장의 전단지이다.
1950년대
한미상호방위조약 가조인식에 참석한 이승만 대통령 (중)과 뒷편의 변영태 외무장관, 존 덜레스 미 국방장관 (우)
1953 연세대학교 이승만 연구원
<한미상호방위조약집>
1953년 10월 1일 체결된 한미상호방위조약문이 실려있다. 정전협정 이후 북한의 재침공으로부터 대한민국을 방위하는 목적으로 미국과 군사동맹을 맺었다,
1953
부산 여학생들의 휴전 반대 시위
1953. 6. 11. NARA
회담장 앞에 서 있는 국군과 미군 주요 인사
1953 John Rich
회담장으로 향하고 있는 북한군과 중국군
1953 John Rich
서명 후 공개된 정전협정문
1953. 7. 17. John Rich
정전협정에 서명하는 유엔군, 공산군 대표
1953. 7. 27. 유엔아카이브
<정전협정>
1953년 7월 27일 판문점에서 유엔군 총사령관과 북한군 최고 사령관 및 중국 인민지원군 사령관 사이에 맺어진 정전협정문이다. 한국어, 영어, 중국어로 작성되었다. 당시 이승만 대통령은 통일을 이루지 못한 상태에서 전쟁을 끝낼 수 없고, 협정으로 북한군의 남침 재발을 막을 수 없다는 이유에서 정전협정 체결에 반대 입장을 피력하였다.
1953. 7. 27.
피난 학교
1950. 10. 1. 유엔아카이브
부산중앙서울피난국민학교 사진첩
피난학교의 전경과 학생들의 사진이 담겨있다. 전쟁으로 인해 부산에 몰린 피난민을 위한 임시 학교가 개설되었다.
1953. 3.
피난민교부증 원부
피난민증 교부 이전 신원확인을 위한 각종 개인 신상 정보가 기재된 원본 문서이다.
1950
피난민증명서
전쟁 중 피난민들에게 발급된 증명서이다. 피난민들은 북한군의 부역자가 아님을 증명하고 식량배급을 받기 위해서 이 증서를 지니고 있어야 했다.
1651. 2. 15. 오자영 기증
피난민
1950 임응식
부산의 피난민 수용소
1951 임응식
6 · 25전쟁 당시 고아들을 구한 러셀 블레이즈델 중령과 딘 헤스 대령
1951 대한민국 공군
전쟁고아 감사 편지
부산의 고아원인 애린원에서 지내던 전쟁고아가 미국에 있는 그의 후원자에게 감사하는 마음을 적어 보낸 편지이다. 한글로 편지를 적고 이것을 다시 영문으로 번역하였다.
1950년대
6 · 25전쟁기간 피해통계
공보처 통계국에서 1950년 6월 25일 ~ 1953년 7월 27일 6 · 25전쟁동안 발생한 각종 피해 통계를 영문으로 기록하였다.
1954. 3. 1.
<6 · 25사변피납치인사명부>
1951년 6 · 25사변 피납치 인사 가족회에서 서울시내에서 일어난 북한의 납치상황을 조사하여 기록한 책자이다. 납치된 인사들의 신상정보와 납치일이 기록되어 있다.
1951 한국연구원 복제
민간인 피해
6 · 25전쟁기 민간인 피해는 사망 · 부상 · 실종 249만 명에 달했다. 양쪽 군에 의한 학살, 좌우익 세력의 갈등 속에 희생된 사람도 많았다. 천만 명 이상의 이재민, 약 6만 명의 전쟁고아와 55만여 명의 전쟁 미망인도 발생했다. 10만 명 내외의 민간인이 북한에 의해 납북되었다.
북한군의 살해확정자 명단
북한군이 작성한 것으로 보이는 살해확정자 명단이다. 명단에는 마을별 살해 대상자의 이름이 수록되어 있다. 청산우익단체 조직상황, 대동청년단 후원회비에 관한 문서도 포함되어 있다. 북한군 점령지에서 인민재판과 우익에 대한 처형으로 많은 민간인이 희생되었다.
1950년대
거창군 신원면 사건조사서
1951년 2월 거창군 신원면에서 국군에 의해 마을 주민들이 희생된 사건에 대해 같은 해 4월 국회와 정부가 합동으로 조사단을 구성하였다. 사건 발생 전의 신원면 상황, 사건 진상의 전체적 개요, 정부 각 부처의 조사내용이 이 보고서에 포함되어 있다.
1951. 4. 1. 국가기록원 복제
피난 일기
6 · 25전쟁 당시 17세였던 기증자의 일기이다. 북한군이 침공한 직후 서울 시내의 긴박했던 상황이 자세하게 기록되어 있다.
1950 김효영 기증
6. 26. 월요일 맑음
좀 뒤숭숭한 길을 떠났다. 어제 어머님께서 좀 들었거니와 북한에서 침입하여 왔다고 야단이라 이럭저럭 알기는 하였으나 늘 싸우는 싸움이니까 마음이 놓였다. 그리고 거짓말 같았다. (···) 남대문통에 나섰는데, 군용차 특히 지프차는 쌩쌩 달아나며 그 위에 모조리 풀을 씌운 것이 거짓말 같지는 않았다.
학교에서도 모두 마음이 놓이지 않아 공부도 하지 못하고 그 얘기만 했는데 이북의 인민군이 동두천에서 38선을 어젯밤 2시 경에 넘어와서 이남의 우리 국군은 하는 수 없이 갑자기 일을 당하여 점점 후퇴하여 서울서 약 60리 밖에서는 많은 백성이 죽고 밤대로 피난을 하여 (···) 막 서울을 향하여 도망쳐 왔다 한다.
1951
6. 1 유엔 사무총장, 38도선에서 휴전 촉구 성명 발표
7. 10 정전회담 개성에서 개막
10. 25 정전회담 판문점에서 재개
11. 27 대치선을 군사분계선으로 하는 원칙에 합의
1952
5. 7 거제 포로수용소 공산포로 폭동
6. 20 유엔군, 포로 강제 송환 강력 반대
1953
3. 5 스탈린 사망, 이후 정전협상 진전
3. 28 공산군, 상병포로 교환 제의 수락
4. 20 상병포로 교환 개시
5. 25 한국대표, 정전회담 불참 선언
6. 18 이승만 대통령, 반공포로 석방
7. 13 중국군 최후 공세 개시
7. 27 정전협정 조인 (클라크 문산, 김일성 평양에서 각각 서명)
8. 5 쌍방 포로교환 시작
10. 1 한미상호방위조약 체결
1954
4. 26 제네바 회담 결렬로 정전 체제 고착화
~
6.15
원조기구별 원조액 추이
ECA | CRIK | UNKRA | ICA | PL480 | 합계 | |
1949 | 116,399 | 116,399 | ||||
1950 | 44,845 | 9,376 | 54,221 | |||
1951 | 32,822 | 96,605 | 122 | 129,549 | ||
1952 | 159,233 | 1,969 | 161,202 | |||
1953 | 159,022 | 29,580 | 5,571 | 194,173 | ||
1954 | 50,191 | 21,297 | 82,437 | 153,925 | ||
1955 | 8,711 | 22,181 | 205,815 | 236,707 | ||
1956 | 331 | 22,370 | 271,049 | 32,955 | 326,705 | |
1957 | 14,103 | 323,267 | 45,522 | 382,892 | ||
1958 | 7,747 | 265,629 | 47,896 | 321,272 | ||
1959 | 2,471 | 208,297 | 11,436 | 222,204 | ||
1960 | 244 | 225,236 | 19,913 | 245,393 | ||
합계 | 194,066 | 483,469 | 122,084 | 1,587,301 | 157,722 | 2,544,642 |
(단위 : 1천 달러)
1949년 ECA 원조에는 GARIOA 원조에서 이관된 자금이 일부 포함되어 있다.
1951 ~ 1953년 CRIK 원조에는 6 · 25 전쟁 발발로 사용하지 못한 2,600만 달러의 ECA 자금이 포함되어 있다.
* ECA : Economic Cooperation Administration Mission in Korea 주한경제협조처사절단
CRIK : Civilian Relief in Korea 한국민간구호
UNKRA : United Nations Korean Reconstruction Agency UN한국재건단
ICA : International Cooperation Administration 국제협조처
PL480 : Public Law 480 미국공법480 (미국 잉여농산물 원조)
숫자로 본 6 · 25
정전협정문 · 한미상호방위조약문
6 · 25전쟁 교육영상
'박물관 기념관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한민국역사박물관 ㅡ 역사관] 19 (0) | 2023.05.22 |
---|---|
[대한민국역사박물관 ㅡ 역사관] 18 (0) | 2023.05.16 |
[구 벨기에 영사관] 01 (1) | 2023.04.30 |
[대한민국역사박물관 ㅡ 역사관] 16 (0) | 2023.04.26 |
[대한민국역사박물관 ㅡ 역사관] 15 (0) | 2023.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