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2025/05/26 5

[개신교 선교 140주년 美 현장을 가다 <1> 윌리엄 전킨과 유니온신학교]

[개신교 선교 140주년 美 현장을 가다 윌리엄 전킨과 유니온신학교] 19세기 미 버지니아주 리치먼드의 유니온 장로교 신학교에선 수많은 젊은 기독인들이 해외 선교의 꿈을 키우며 성장했다. 이 학교 학생이었던 윌리엄 전킨과 레이놀즈는 언더우드의 연설을 듣고 ‘은자의 나라’ 조선으로 향한다. / 이태훈 기자 전주 · 군산에 학교 세워··· 아들 셋 조선 땅에 묻고도 "나는 행복합니다" 1892년부터 전주 · 군산 중심으로조선인들과 생활하며 선교 활동 아들 셋 연달아 풍토병으로 잃고도몸던져 고아들과 전염병 환자 돌봐영명학교와 군산 여학교 세우기도 전킨의 유언 전한 딸의 편지글에는"한국서 사역할 기회 주셔서 감사" 1885년 4월 5일 미국 북장로교의 호러스 언더우드 (1859 ~ 1916..

[쿼카]

[쿼카] ▲ 쿼카 이모티콘. / 영이의 숲 꽃카 입꼬리 올라가 늘 웃고 있는 듯해···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동물' 이라 불려요 요즘 카카오톡에서 인기 있는 동물 이모티콘 중에 '쿼카' 가 있어요. 몸은 옅은 갈색이고, 통통하고 둥그스름한 얼굴에 언제나 미소를 짓고 있는 귀여운 동물이죠. 상상 속 캐릭터 같아 보이기도 하지만 실제로 있는 동물이랍니다. 쿼카는 호주 서남부 지역과 이 지역의 대도시 퍼스에서 약 30㎞ 떨어진 로트네스트섬에서 주로 살고 있는 포유동물이에요. 다 자라면 몸길이는 54㎝, 몸무게는 4.2㎏ 정도로 아담한 몸집이죠. 쿼카라는 이름은 먼 옛날 호주로 건너온 유럽 사람들이 지었다고 합니다. 호주 원주민들이 그들 부족 말로 쿼카를 부르는 말을 흉내 낸 거래요. 쿼카..

[각국의 상징 동물]

[각국의 상징 동물] ▲ 바티칸이 가톨릭 성년인 ‘희년’ 을 앞두고 만든 캐릭터 ‘루체’. 일본 만화에 나올 법한 친근한 이미지로, 젊은 세대들에게 희년을 홍보하기 위해 제작됐답니다. / 위키피디아 프랑스 상징하는 수탉··· 위기 극복한 민중 의미해요 흰머리수리, 강인한 모습에 미국 상징독일 · 오스트리아 · 러시아도 독수리죠사자는 중세 시대부터 영국 왕실 대표한국 상징은 호랑이 · 까치로 여겨져요 바티칸이 최근 가톨릭 성년 (聖年)인 '희년' 을 상징하는 공식 캐릭터 '루체' 를 발표했어요. 가톨릭에서 희년은 25년마다 한 번씩 돌아오는 해로, 이해엔 성지 순례가 권장돼요. 루체는 노란 우비를 입은 소녀가 밝게 웃고 있는 캐릭터로 마치 일본 애니메이션에 나올 법한 스타일이랍니다. 바..

[가을날]

[가을날] 일러스트 = 박상훈 가을날 좋지 가을볕은뽀뿌링 호청같이 깔깔하지.가을볕은 차젊은 나이에 혼자된 재종숙모 같지.허전하고 한가하지. 빈 들 너머버스는 달려가고 물방개처럼추수 끝난 나락 대궁을 나는 뽁뽁 눌러 밟았네.피는 먼지구름 위로하늘빛은고요 돌이킬 수 없었네아무도 오지 않던 가을날. ㅡ 김사인 (1956 ~) 가을볕의 감촉은 어떠한가. 시인은 까칠까칠하고 차다고 말한다. 가을볕은 마치 포플린으로 이불의 겉을 홑겹으로 짜서 씌운 듯해서 살갗에 닿으면 좀 거칠거칠하긴 해도 말쑥하고 시원한 느낌이 없지 않다. 가을볕은 차가우니 축축한 기운이 전혀 없다. 또 꽉 차 있지 않아 비어있는 것만 같으니 사람의 마음 한구석에 막막하고 적적한 느낌이 생겨나게 한다. 가을해가 내리쬐는 기운을 참..

[사진으로 보는 제주역사 31 ㅡ 1950년대 신랑과 '우시']

[사진으로 보는 제주역사 31 ㅡ 1950년대 신랑과 '우시'] 1950년대 중반에 한경면 조수리에서 찍은 이 사진은 혼례식 날 아침 신부를 맞으러 간 신랑과 '우시' (위요)들이 신붓집 입구에서 '들어오라' 는 명이 떨어지기를 기다리고 있다.혼인 때에 가족 중에서 신랑이나 신부를 데리고 가는 사람을 '위요 (圍繞)' 라고 하는데, 제주에서는 이를 '우시' 라고 한다. '우시' 는 보통 신랑 또는 신부의 친가와 외가 사람을 섞어 대여섯 명 정도 가는 게 상례다.사진에서 신랑은 전통 혼례복 차림이고, 남자 우시인 경우는 양복 차림, 여자 우시는 한복을 입었다. 남자들은 짧은 머리를 했고, 여자의 머리는 뒤로 묶어서 쪽찐 머리와 파마가 혼재되어 있어 당시 머리 모양과 복식을 엿볼 수 있다.여자 '우시'..

제주 자료 2025.05.26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