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詩, 좋은 글 ... 96

[저녁 식사]

[저녁 식사] / 일러스트=김성규 저녁 식사 교도소로 가야 합니다 남자에게 통역하고 법원에서 집으로 가는 길 백화점에 들러 가다랑어 다타키를 사서 전철에 뛰어올라 좁은 자리에 엉덩이를 밀어 넣었다 오늘 맡은 사람은 생각보다 담담했나 (···) 집에 들어와 바로 쌀을 씻는다 반성하고 있어요 다시는 안 그럴게요 남자의 말들이 질끔질끔 쌀뜨물을 타고 흘러 내려간다 (···) 갓 지은 흰쌀밥의 고소한 김을 맡고 (···) 교도소로 가야 합니다 남자에게 통역한 말 따위는 차가운 맥주를 목 뒤로 넘기면서 완벽하게 잊은 것처럼 들이켰다 ㅡ 정해옥 (丁海玉 · 1960 ~) (손유리 옮김) 정해옥은 일본 가나가와현에서 태어난 재일교포 2세 시인이다. 일본에서 어린 시절을 보내고 1980년 서울대학교에 입학해 역사를 공..

[봄 (Spring)]

[봄 (Spring)] / 일러스트=양진경 봄 (Spring) 무슨 목적으로, 4월이여 너는 다시 돌아오는가? 아름다움만으로는 족하지 않다 (···) 크로커스의 뾰족한 끝을 지켜보는 나의 목덜미에 닿는 햇살이 뜨겁다. 흙 냄새가 좋다. 죽음이 전혀 없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그게 무슨 의미가 있으랴? 사람의 뇌는 땅 속에서만 구더기에 먹히는 것이 아니다. 인생은 그 자체가 무 (無), 빈 술잔, 주단 깔지 않은 층계. 해마다, 이 언덕 아래로, 4월이 재잘거리며, 꽃 뿌리며 백치처럼 오는 것만으로는 충분치 않다. ㅡ 빈센트 밀레이 (1892 ~ 1950) (최승자 옮김) 나는 햇살만으로 충분한데, 빈센트 밀레이는 욕심이 많네. 꽃 뿌리며 백치처럼 오는 4월. 우리 생애 이처럼 화창한 봄날이 다시 또 올..

[할아버지]

[할아버지] 할아버지 할아버지가 담뱃대를 물고 들에 나가시니, 궂은 날도 곱게 개이고, 할아버지가 도롱이를 입고 들에 나가시니, 가문 말도 비가 오시네. ㅡ 정지용 (1902 ~ ?) 외래어는 하나도 쓰지 않고, 한자어도 없이 순수한 우리말로만 쓴 아름답고 재미난 동시. '도롱이' 대신 우산을 쓰며 우리가 잃어버린 할아버지와 할머니를 생각한다. "하늘이 시커머니 어째 비가 올 것 같다"고 말하던, 귀신처럼 정확했던 그분들의 일기예보가 그립다. 일본 도시샤 대학에서 영문학을 전공한 정지용은 서구의 모더니즘을 받아들여 참신한 이미지와 정제된 언어가 돋보이는 시를 썼다. 일제강점기에 이토록 향토색이 진한 서정시를 쓴 시인이 가톨릭 신자였다는 사실이 새삼스럽다. 정지용은 6 · 25 전쟁이 터진 뒤 피란하지 못..

[스팸메일]

[스팸메일] 스팸메일 소금에 절여진 혀가 죽음을 핥는다 (···) 통조림에 꾸역꾸역 채워 넣은 분홍빛 주검 (···) 오키나와에 집중된 통조림 스팸 소비 제2차 세계대전 한국전쟁 베트남전쟁 (···) 진절머리 나는 전쟁의 맛 (···) 나도 보낼 테다 스팸메일을 누군지 모르는 사람에게 불쾌하기 이를 데 없는 사람에게 끝내 이름조차 알지 못할 사람에게 바로 스팸메일을 보내버릴 테다 인간의 어떤 본질이 선명하게 어린 메일을 대량으로 받아 보겠지 진절머리 나는 군용식품의 참을 수 없는 질문 같은 메일을 ㅡ 사가와 아키 (1954 ~) (한성례 옮김) 스팸 햄을 먹으며 통조림에 채워 넣은 분홍빛 주검을 떠올리고, 전쟁시의 비상 분쇄육 식품에서 '시대의 식도 (食道)'를 읽는다. 제2차 세계대전 때 미군이 전해준..

[지극한 즐거움을 읊어 성중에게 보이다]

[지극한 즐거움을 읊어 성중에게 보이다] 지극한 즐거움을 읊어 성중에게 보이다 뜰의 꽃 흐드러져도 보고 싶지 않고 음악 소리 쟁쟁 울려도 아무 관심 없네 좋은 술과 예쁜 자태에도 흥미 없으니 참으로 맛있는 것은 책 속에 있다네 ㅡ유희춘 (1513 ~ 1577) (강혜선 옮김) 차운하다 (次韻) 봄바람 아름다운 경치는 예부터 보던 것이요 달 아래 거문고 타는 것도 한 가지 한가로움이지요. 술 또한 근심을 잊게 하여 마음을 호탕하게 하는데 그대는 어찌하여 유독 책에만 빠져 있나요? ㅡ송덕봉 (1521 ~ 1578) (강혜선 옮김) (원시 번역시와 다르게 행을 배열함) '성중 (成仲)'은 이 시를 지은 선조 시대 문인인 유희춘의 부인 송덕봉의 다른 이름이다. 인생의 지극한 즐거움은 책에 있다고 자랑하는 남편의..

[구름과 목화]

[구름과 목화] / 일러스트=양진경 구름과 목화 몽실몽실 피어나는 구름을 보고 할머니는 "저것이 모두 다 목화였으면" 포실포실 일어나는 구름을 보고 아기는 "저것이 모두 다 솜사탕이었으면" 할머니와 아기가 양지에 앉아 구름 보고 서로 각각 생각합니다. ㅡ권태응 (1918 ~ 1951) 한 폭의 수채화처럼 담백하고 고운 동시. 할머니와 아기가 양지에 앉아 흰 구름을 바라보는 풍경을 상상만 해도 머리가 깨끗해진다. 3행이 1연을 이루며 각 연의 1행과 2행의 글자 수가 같고 서로 대구를 이루는, 단순하면서도 정교하게 짜인 구성. 구름을 바라보는 할머니와 아기를 보고 시인은 참으로 많은 생각을 했고, 그래서 이렇게 입체적이며 철학적인 시가 나왔다. 어느 날 어느 때 똑같은 사물을 보고 우리는 각자의 처지와 욕..

[해넘이의 마지막 인사]

[해넘이의 마지막 인사] 해넘이의 마지막 인사 거룩한 태양이 녹아들고 있었다. 하얀 바다 속으로 뜨겁게ㅡ 바닷가에 수도사 두 사람이 앉아 있었다 금발의 젊은이와 백발의 늙은이가. 늙은이는 생각하고 있었다. 언젠가 나도 쉬게 되리라. 이렇게 편안히ㅡ 젊은이도 생각하고 있었다. 내가 죽을 때도 영광의 광채가 내리기를. ㅡ 릴케 (1875 ~ 1926) (송영택 옮김) 릴케가 이런 시도 썼구나. 연약하고 낭만적인 감수성의 시인으로 생각하기 쉽지만, 릴케의 시 세계는 바다처럼 넓고 깊다. 해가 넘어가는 황혼 무렵, 바닷가에 앉은 두 수도사를 (아마도 뒤에서) 바라보며 이런 거룩하고 심오한 생각을 하다니. 4행에 나오는 '금발의 젊은이'가 재미있다. 우리나라 시인이라면 '흑발의 젊은이'라고 했을 텐데, 유럽에서는..

[봄은 고양이로다]

[봄은 고양이로다] 봄은 고양이로다 꽃가루와 같이 부드러운 고양이의 털에 고운 봄의 香氣 (향기)가 어리우도다. 금방울과 같이 호동그란 고양이의 눈에 미친 봄의 불길이 흐르도다 고요히 다물은 고양이의 입술에 포근한 봄 졸음이 떠돌아라 날카롭게 쭉 뻗은 고양이의 수염에 푸른 봄의 生氣 (생기)가 뛰놀아라. ㅡ 이장희 (1900 ~ 1929) 봄의 향기를 고양이를 통해 생생하게 보여준 시, 1920년대에도 이장희처럼 이미지로만 시를 쓴 시인이 있었다. 이 시에서 내가 제일 좋아하는 단어는 '호동그란'이다. 호기심 많고 동그란 고양이의 눈이 금방 떠오르지 않나. 100여 년 전 이토록감각적이고 현대적인 시를 쓴 시인은 어떤 사람이었을까. 이장희의 출생 연도 '1900년' 옆에 붙은 '고종 37'을 보니 그가 ..

[돌담에 속삭이는 햇발]

[돌담에 속삭이는 햇발] / 일러스트 = 양진경 돌담에 속삭이는 햇발 돌담에 속삭이는 햇발같이 풀 아래 웃음 짓는 샘물같이 내 마음 고요히 고운 봄 길 위에 오늘 하루 하늘을 우러르고 싶다 새악시 볼에 떠오는 부끄럼같이 시의 가슴에 살포시 젖는 물결같이 보드레한 에메랄드 얇게 흐르는 실비단 하늘을 바라보고 싶다 - 김영랑 (1903 ~ 1950) (현대 표준어에 맞춰 수정함) 봄이 저만치 와 있다. 우리말로 쓰인 봄 노래 중에 '돌담에 속삭이는 햇발'처럼 보드라운 시가 또 있을까. '북에는 소월, 남에는 영랑'이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김영랑은 순수한 우리말을 살려 시를 짓는 데 뛰어난 시인이었다. '살포시' '보드레한'을 음미하노라면 마음이 밝아진다. 두 연의 1행과 2행이 '같이'로 끝나고 4행과 8행..

[이단 (李端)과의 이별]

[이단 (李端)과의 이별] / 일러스트 = 양진경 이단 (李端)과의 이별 고향 땅 여기저기 시든 풀잎이 뒤덮을 때 친구와의 헤어짐은 더없이 쓸쓸하였네 떠나는 길은 차가운 구름 너머로 이어지고 돌아올 땐 하필 저녁 눈이 흩날렸었지 어려서 부모 잃고 타향을 떠도는 신세 난리 통 겪는 중 우리 알게 됨이 너무 늦었네. 돌아보니 친구는 없고 애써 눈물을 감추니 이 풍진 세상 다시 만날 날은 언제일까 - 노윤 (盧綸 · 739 ~ 799년) ※ 류인 옮김, 원시 번역시와 다르게 행을 배치함 난리 통에 알게 된 친구는 얼마나 애틋할까. 이단과의 이별을 슬퍼하는 노윤의 시에 등장하는 난리는 중국 당나라를 뒤흔든 안녹산 (安祿山)과 사사명의 반란 (755 ~ 763년)을 뜻한다. 당대의 시인 두보 (杜甫)나 노윤의 시..

728x90